Communication, PR, IMC 17

코카콜라 캠페인 전략의 숨은 비밀(?)

지난 1월 코카콜라가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공개했습니다. “올해는 도시마다, 다시 즐거움이 켜질 거예요.” 코로나19 상황에서 응원의 메시지를 담은 ‘코-크’ 시티 캠페인입니다. 코카콜라는 새해마다 일상 속 짜릿한 행복을 주제로 응원 메시지를 담은 패키지와 광고캠페인을 내놨습니다. 코카콜라로 마음을 전하자는 스토리텔링패키지 ‘Share a Coke’ 캠페인이 특히 유명합니다. 하지만 성수기인 여름이 다가오면 광고캠페인은 180도 달라집니다. 따뜻한 응원은 사라지고 짜릿함만 남습니다. 무더운 여름 날씨와 극적인 대비를 이루는 차가운 얼음 그리고 짜릿하게 터지는 탄산. ‘지금 당장 너의 갈증을 해소해!’라고 에둘러 이야기합니다. 코카콜라의 이처럼 극명히 다른 캠페인 전략에는 동기(動機, motivation)..

SK플래닛 광고부문 PR담당 단기파견인력 채용(대학생 아르바이트생)

제가 몸 담고 있는 SK플래닛 광고부문에서 PR업무를 지원할 역량있는 대학생 아르바이트생을 채용합니다. 광고나 PR직군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으로, MS오피스와 포토샵 등을 활용해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분을 찾습니다. 근무 시간은 아침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전일제 주 5일이며, 근무 장소는 시청역 인근 상공회의소회관 5층 SK플래닛입니다. 기존에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인턴이 하던 업무를 이어서 하는 자리입니다. 단기 아르바이트이긴 하지만 광고, PR 등의 직군에 관심이 있고 이 쪽에서 진로를 잡고 있는 분들께는 좋은 경험이 되실 겁니다. ■ 채용 인원 : 1명 (단기 파견 인력) ■ 채용 대상 : 광고, PR직군에 관심이 있는 대학교 재학생 또는 휴학생. 졸업생도 가능 ■ 근무 기간 : 시작..

[프레임] 자수성가의 덫 … 영웅은 누구를 위해 헌신하는가? (2015.5.6)

“세기의 대결, 메이웨더 대 파퀴아오!” “복싱 엘리트 집안 출신 대 빈민가 출신의 헝그리 복서” “돈 밝히는 악동 대 자선사업을 펼치는 정치인” 지난 3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MGM 그랜드가든 아레나에서 열린 플로이드 메이웨더(38·미국)와 매니 파퀴아오(37·필리핀)의 세계복싱평의회(WBC)·세계복싱기구(WBO)·세계복싱협회(WBA) 웰터급 통합 타이틀전에 짜인 프레임이다. 메이웨더와 파퀴아오의 경기는 이미 엄청난 대전료와 중계권료, 입장권 가격 등을 내세워 ‘세기의 대결’이라는 타이틀로 전 세계인들의 주목을 끄는데 성공했다. 또한 계체량 측정마저 행사로 만들면서 관심을 증폭 시켰다. *Publicity Stunt, Pseudo Event * Publicity Stunt : 특정 쟁점을 부각하거나 상품..

PR! Publicity? Digital PR?

#1. PR = Digital PR 올해 초에 제일기획에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담당 후배를 만났습니다. 이런 저런 근황을 묻고, 업계 돌아가는 이야기를 나누다가, 후배에게 “너희 회사는 광고주에 대해 PR 서비스를 어떤 식으로 하나”라고 물었습니다. 후배의 답변은 “형, 요즘은 PR이라고 하면 다 디지털 PR로 이해해요”였습니다. PR = Digital PR, 즉 블로그나 소셜미디어와 같은 온라인 채널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곧 PR로 인식된다는 의미입니다. 미디어 퍼블리시티(Media Publicity), 미디어 서비스(Media Service)로 PR일을 시작한 제 머리 속에 담긴 ‘그래도 PR은 언론홍보지’라는 고정관념이 얼마나 고루하고 뒤쳐진 생각인지를 다시금 깨쳤습니다. - 미디어 퍼블리시티(..

PR과 관계성 (PR 실무자가 가져야 할 지식 기반)

지난번 PR의 정의 부분에 이어 PR과 관계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PR이란 것이 결국 공중과의 우호적인 관계 증진에 있기 때문에, PR 실무자는 PR과 관계성에 대한 지식 기반은 꼭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왜 '관계'일까요? PR 실무자가 가져야 할 지식 기반 현대 기업은 상시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위기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기업을 둘러싼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복잡성으로 인해 위기요인은 다양화되고 상시화됐기 때문이죠. 과거에는 제품•서비스의 생산자가 곧 정보의 생산자였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소비자도 정보 생산자가 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오로지 고객과 커뮤니케이션 하면 됐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직원, 고객, 언론, 정부, 지역 주민, 경쟁자 등 무수히 많은 이해관계자(Stakeholde..

PR인의 윤리 ... 한 젊은 정치 신인의 거짓말 논란을 보며

4월 총선에서 눈 여겨본 정치 신인이 하나 있었습니다. 사회 경력이라고는 PR 회사 밖에 없는 어느 당차고 젊은 친구가 험하디 험한 정치판으로 뛰어 든다고 하니 절로 눈길이 갔습니다. 그런데 요즘 그 친구가 거짓말 논란에 빠졌더군요. 전세금 3000만원을 가지고 선거운동을 치르겠다고 했지만, 돈의 출처는 부모님이었고요. 이를 해명하는 과정에서도 선거 기탁금 1500만원을 내면 3000만원으로 선거 운동을 치르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했지만, 기탁금 1500만원은 중앙당에서 지원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다시금 거짓말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일단 의아했습니다. PR회사에서 일했다는 친구가 왜 저렇게 팩트를 다루는데 소홀했을까. '3000만원으로 선거 뽀개기'라는 자신의 선거 공약이자 정체성이 되는 메시지를 아..

PR의 정의

"무슨 일 하니? 어떤 회사 다니니?" 라는 질문에 "PR일 합니다", "PR회사 다녀요"라고 하면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PR이라고 하면 으레 광고를 떠올리시는 분들이 많고요. 어떤 분들은 홍보 제작물(전단, 기념품 등)이나 간판 만드는 일로 아시는 분도 있습니다. PR이란 것이 손에 잡히거나 눈에 보이는 무엇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겠죠. 전통적으로는 PR이라고 하면 언론 홍보, Publicity를 의미 했습니다. 마케팅에서도 PR이라고 하면 여러 커뮤니케이션 채널 중 News Publicity를 뜻했습니다. 하지만 PR이란 단어의 뜻이 Public Relations이듯 PR을 Publicity로만 이해하는 것은 굉장히 좁게 PR을 바라보는 것이겠죠. 지금의 PR회사는 언론홍보 뿐만 아니라, ..

PR 시험 문제(2012.3.9 / 커런트코리아 사원 평가)

1. 기업에게 PR은 꼭 필요한 활동입니까? (상황 설정) 어느 중견기업 CEO에게 PR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며, 왜 PR회사를 써야 하는지를 설득해 보시오. - 필수 포함 내용 : PR의 정의, 기업(조직)을 둘러싼 커뮤니케이션 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 PR회사의 역할과 업무 등 2. 다음 개념을 설명하시오 -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 캠페인(Campaign) - 프레임 효과(Framing effect) - 이슈(issue) - 게이트키핑(Gate keeping) - 의제설정(Agenda setting) 다음의 개념에 대해 구별해서 설명하시오. 3. 미디어 퍼블리시티(Media Publicity) & 미디어 서비스(Media Service) 4. 이슈..

모니터링 : 이슈 모니터링(Issue Monitoring) & 기회 모니터링(Opportunity Monitoring)

PR회사에 입사하거나 기업 홍보팀에 들어가서 신입AE 또는 신입사원이 가장 먼저하는 일은 '뉴스 모니터링'입니다. 아... 정확히 말하자면 '뉴스 모니터링'이라기 보다는 뉴스 스크랩 업무라고 하는게 정확하겠네요. 모니터링(Monitoring). 사전적 의미로 보면 감시, 감찰 정도가 되겠죠. PR회사나 기업 홍보팀이 뉴스 모니터링을 하는 첫번째 목적은 이슈 모니터링(Issue Monitoring)'입니다. 이슈 모니터링이란 말 그대로 이슈나 위기 상황에 대한 감지, 경고를 위한 활동입니다. - 이슈 모니터링(Issue Monitoring) : 조간, 석간, 가판 뉴스 모니터링, 온라인 뉴스 모니터링 등 활동을 통해 위기 상황에 대한 감지 경고 기능 수행 ※ 이슈(issue, 쟁점) : 어떤 결정을 기다리..

마케팅? PR? 마케팅PR!

마케팅? PR? 마케팅PR! '마케터'들은 PR(통상적으로 협의의 Publicity를 의미)을 여러 마케팅 툴 중에 한가지로 간주합니다. 반면 PR을 하는 '커뮤니케이터'에게 마케팅은 기업이 관계를 맺고, 소통을 해야 하는 여러 이해관계자(stakeholder) 중 고객과의 관계 정도로 간주해 버리기도 합니다. 이 마케팅과 PR 사이에서 애매하게(?) 걸쳐있는게 '마케팅PR'인데요. 흔히 기업PR(CPR : Corporate Public Relations), 마케팅PR(MPR : Marketing Public Relations), 쟁점관리(Issue Management) 와 같이 PR의 여러 기능적 역할 중에 하나로 놓고 분류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변화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MPR은 오히려 목적으로써의..